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은 스트림 처리를 제외하고는 코루틴을 쓰는 게 더 낫다고 생각함

reactive를 자바로 쓰면 이벤트 디버깅도 어렵고 로그가 순서대로 찍히지 않고 내용이 적음

(지옥문이라고 함)

리액티브에 비해 코루틴이 일시정지도 가능하고 더 좋다라고 책에서는 내용이 나옴.

둘은 하려고 하는 것이 다르다고 생각하는 팀원

자바에서는 비동기를 처리하는 것이 굉장히 애매해진다.

스프링은 @async나 멀티스레드로 처리하는데 그것이 아니면

비동기 논블로킹을 위해서 reactive 이야기가 나오곤 함.

코루틴 자주 쓰는 상황

  1. 병렬 처리 (api 하나당 온갖 api 끌어서 데이터 조합하는 경우가 많아서)

코루틴은 병렬로 때리는 것이라 디비나 api 인스턴스가 위험할 수 있는데

그것을 고려해 가면서 코루틴을 쓰는지

디비 고려 없이 RPC 등으로 외부 api를 호출한다.

사전에 공지를 하고 호출한다. -> 잘못하면 내부 서버가 트래픽 못 버티고 터져서 상대방 입장에서는 꼭 디도스 공격처럼 보이기 때문에

리액티브 프로그래밍할때 대비용으로 백프레셔를 넣었다.

신규 api 호출하는 테스트랑 예외 시 롤백하기 위한 ab test ?

(뭔소리임)

테스트를 잘 못했는데 서버에 올라왔어.

내 서버 때문에 다른 api가 터질 수도 있잖아, 그럴 경우 실시간 대응은 어떻게?